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8:48
본문
Download :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hwp
파생적 피동은 타동사 어근에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가 붙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피동 표현의 가장 대표적인 유형이다. 피동이란 정이 은 주로 서양 문법에 나타난 피동태에 대응하는 국어문법의 피동성 형태들을 추출하여 피동형이라 이름지은 것이 그 시초라고 할 수 있따
(1) a. 보이다, 먹히다, 잡히다 (피동사)
b. 보다, 먹다, 잡다 (능동사)
피동은 은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 을 말하는 것으로 ‘제 힘으로 하는 동작’인 능동과 대비된다 (1a)와 같은 동사를 피동사, (1b)를 능동사라 한다. 그리고 통사적 피동은 용언의 어간에 ‘-어지다’나 ‘-게 되다’가 붙어서 형성된다 흔히 피동 표현…(To be continued )
Download :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hwp( 73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인문사회레포트 ,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 있는가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순서
장형,피동과,단형,피동은,어떤,차,있는가,인문사회,레포트
다.
(2) 넣이다(×), 주이다(×), 가이다(×)
(3) 손에 못에 박혔다 → 누가 손에 못을 박았다(×)
(4) 철수가 칭찬을 들었다 → 칭찬이 철수에게 들렸다(×).
그러나 모든 능동사가 피동사가 되는 것은 아니며(2) 능동문이 없는 피동문도 있다(3). 또 피동문을 만들 수 없는 능동문도 있다(4).
국어의 피동문은 파생적 피동, 통사적 피동, 어휘적 피동으로 나뉘는데, 이 중 학교 문법에서 인정되고 있는 것은 파생적 피동과 통사적 피동이다.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Ⅰ. 피동이란
1.1. 단형 피동
1.2. 장형 피동
Ⅱ.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차이
2.1. 의미상 차이
2.1.1. 단형 피동 ‘-히-’의 의미
2.1.2. 장형 피동 ‘-어지다’의 의미
2.1.3.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 차이
2.2. 분포상 차이
2.2.1. 단형 피동 ‘-히-’의 분포
2.2.2. 장형 피동 ‘-어지다’의 분포
Ⅲ. 요약 및 結論
출처
Ⅰ. 피동이란
국어 문법의 기술에서 최초로 피동법 논의가 나타난 것은 Ridel 이나 Underwood 등의 서양인 문법서에서이다. 피동이란 정이 은 주로 서양 문법에 나타난 피동태에 대응하는 국어문법의 피동성 형태들을 추출하여 피동형이라 이름지은 것이 그 시초라고 할 수 있따
(1) a. 보이다, 먹히다, 잡히다 (피동사)
b. 보다, 먹다, 잡다 (능동사)
...
장형 피동과 단형 피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Ⅰ. 피동이란
1.1. 단형 피동
1.2. 장형 피동
Ⅱ.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차이
2.1. 의미상 차이
2.1.1. 단형 피동 ‘-히-’의 의미
2.1.2. 장형 피동 ‘-어지다’의 의미
2.1.3.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 차이
2.2. 분포상 차이
2.2.1. 단형 피동 ‘-히-’의 분포
2.2.2. 장형 피동 ‘-어지다’의 분포
Ⅲ. 요약 및 結論
출처
Ⅰ. 피동이란
국어 문법의 기술에서 최초로 피동법 논의가 나타난 것은 Ridel 이나 Underwood 등의 서양인 문법서에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