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신분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2 00:01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의 신분제.hwp
고려시대의 신분제
양인
고려시대의 신분제
천 민
왕족, 문무고위관료
학 생-학생, 유학(幼學)
공·사노비, 향․소․부곡민, 화척(禾尺), 진척(津尺), 재인(才人)
순서
2. 신분, 계층의 구조가 어떠하였나
.
서 인-서인, 군인, 백정
고려시대의 신분제
.
⑴ 양천제도 고려사회는 “본조(本朝)의 양천제는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향 리-향리, 향직
고려시대의 신분제
입사직-품관, 진사, 재생, 급제, 사심, 서리
고려시대의 신분제
하급관리, 서리, 향리, 남반, 하급 장교
집단천인-향, 소, 부곡, 역, 관, 진의 주민



천인
⑴
① 법적․세습적 差別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습적으로 존재하는 差別도 신분을 나누는 기준 으로 삼을 수 있다는 입장
노 비-공노비: 궁원노비, 관노비
② drawback(걸점): 법제적 차등은 명확한 검출기준이라는 advantage(장점) 을 가지는 반면, 법제에 명시되지 않은 현실적이며 실제적인 불평등한 구조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름.
고려시대의 신분제
3. 중간계층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② drawback(걸점): 사회적 신분은 관습․관례 등에 의거한 통상적․통념적 特性(특성) 때문에 법제적 차등 처럼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는 단점이 있음.
Download : 고려시대의 신분제.hwp( 21 )
⑵ 4신분제론
중간계층
① 권리와 의무상 가해지는 법적․세습적 差別의 존재를 신분의 기준으로 삼음.
피지배계층
신분은 사회적·법률적인 지위나 자격 혹은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서열 내지는 등급으로서 원칙적으로 세습되었으며, 전근대사회인 고려시대 역시 그러하였다.”는 성종대 최승로의 말처럼 양천법이 가장 기본적 신분제로서, 모든 사회 구성원은 양인과 천인, 양신분과 천신분으로 구분되었다. 신분은 크게 법제적 신분과 사회적 신분으로 구분되는데, 양자의 어느 기준을 취하는가에 따라 신분제의 전반적인 구조와 계층구성에 대한 여러 견해가 갈라져 논쟁되고 있다아
아직까지 논의가 진행 중임을 고려하여 신분계층은 일단 관인․사족, 일반양인(관인․사족․ 중간계층을 제외한), 천인으로 구분. 『고려시대사의 길라잡이』 박용운 외 지음, 일지사, 2007
⑶ 양천제와 4신분제의 이중적 고찰
귀 족
양 인
농민, 상인, 수공업자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사노비: 솔거노비, 외거노비
지배 계층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