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한계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5:11
본문
Download : 소성한계시험.hwp
① 소성한계를 구할 수 없는 경우
② 소성한계가 액성 한계와 같거나 또는 소성한계가 액성한계보다 큰 경우
6-3 활성도(A)
2 이하의 점토의 중량백분율에 대한 소성지수 의 비를 활성도라 한다.
…(drop)





레포트/공학기술
다.
(4) (1)~(3)의 단계를 3회 반복하여 함수비를 구하고 그 mean or average(평균) 값을 구한다.
(2) 반죽한 흙을 유리판에 놓고 손바닥으로 굴려 지름이 3mm 정도 되게 한다.
(3) 수분이 계속 증발되므로 함수비는 즉시 측정(測定) 하여야 한다.
소성한계시험
순서
설명
소성한계시험 , 소성한계시험공학기술레포트 , 소성한계시험
Download : 소성한계시험.hwp( 56 )
소성한계시험
소성한계시험,공학기술,레포트
건설재료實驗
2-4 소성한계시험
1. 實驗タイトル
소성한계시험
2. 개 요
이 시험은 흙의 콘시스텐스 중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동시에 액성한계가 구하여 졌다면 소성지수도 계산에 의하여 얻어진다.
5. 주의사항
(1) 손바닥에 힘을 주면 깨져버릴 염려가 있으니 힘의 분산에 유의한다.
6. 理論적 배경
6.1 소성한계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로부터 소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말한다.
(3) 이 흙이 토막토막 부스러져서 이보다 더 가늘게 굴릴 수 없다면 부스러진 흙을 모아서 함수비를 측정(測定) 한다. 흙덩어리를 굴려서 지름 3mm가 되어 토막 토막 부서지기 스타트할 때의 함수비를 재면 이것이 곧 소성한계이며 소성도를 사용한 세립토의 판별분류와 흙의 工學적 성질 추정에 이용된다
3. 시험장비
(1) 유리판 (2) 주걱 (3) 분무기
4. 시험방법
(1) No.40체를 통과한 시료 약 15g을 취하여 증류수를 타서 잘 반죽한다. 소성한계는 흙의 소성단계의 최소 한계로서 반고체 상태와 소성 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말한다.
다만, 다음의 경우는 비소성(NP)의 기호로 표시한다.
(2) 3mm이하에서도 부스러지지 않으면 다시 뭉쳐서 굴린다.()
6-2 소성지수
흙의 소성지수 는 흙의 액성한계 와 소성한계 와의 차를 말하며 다음 식에서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