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보고서)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0:05
본문
Download : (A+ 레포트)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hwp
,법학행정,레포트
다. 국제표준화기구의 정보교환용 부호체계인 ISO-2022에 맞추어 1987년 한국공업진흥청에서 국가 표준으로 정한 코드로 원래 명칭은 `KSC-5601 정보교환용 부호 (한글 및 한자)`이다. 사용빈도가 높은 한글…(drop)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한글 부호화 체계를 정리 나열하고, 국제 표준인 ISO-2022, ISO-10646과의 관계를 설명한 A+ 레포트입니다.
II. 본론
1. 한글 부호체계
(1) 완성형 한글 코드 : KSC-5601
One 바이트로 처리될 수 있는 영문자와 달리 한글은 글자의 characteristic(특성)상 2바이트 이상의 부호체계로 구성되어야 한다.(A+ 보고서)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
Download : (A+ 레포트)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hwp( 77 )
%20%ED%95%9C%EA%B8%80%20%EB%B6%80%ED%98%B8%EC%B2%B4%EA%B3%84(%ED%95%9C%EA%B8%80%EC%BD%94%EB%93%9C)%EC%99%80%20%EA%B5%AD%EC%A0%9C%ED%91%9C%EC%A4%80%EA%B3%BC%EC%9D%98%20%EA%B4%80%EA%B3%84_hwp_01.gif)
%20%ED%95%9C%EA%B8%80%20%EB%B6%80%ED%98%B8%EC%B2%B4%EA%B3%84(%ED%95%9C%EA%B8%80%EC%BD%94%EB%93%9C)%EC%99%80%20%EA%B5%AD%EC%A0%9C%ED%91%9C%EC%A4%80%EA%B3%BC%EC%9D%98%20%EA%B4%80%EA%B3%84_hwp_02.gif)
%20%ED%95%9C%EA%B8%80%20%EB%B6%80%ED%98%B8%EC%B2%B4%EA%B3%84(%ED%95%9C%EA%B8%80%EC%BD%94%EB%93%9C)%EC%99%80%20%EA%B5%AD%EC%A0%9C%ED%91%9C%EC%A4%80%EA%B3%BC%EC%9D%98%20%EA%B4%80%EA%B3%84_hwp_03.gif)
%20%ED%95%9C%EA%B8%80%20%EB%B6%80%ED%98%B8%EC%B2%B4%EA%B3%84(%ED%95%9C%EA%B8%80%EC%BD%94%EB%93%9C)%EC%99%80%20%EA%B5%AD%EC%A0%9C%ED%91%9C%EC%A4%80%EA%B3%BC%EC%9D%98%20%EA%B4%80%EA%B3%84_hwp_04.gif)
%20%ED%95%9C%EA%B8%80%20%EB%B6%80%ED%98%B8%EC%B2%B4%EA%B3%84(%ED%95%9C%EA%B8%80%EC%BD%94%EB%93%9C)%EC%99%80%20%EA%B5%AD%EC%A0%9C%ED%91%9C%EC%A4%80%EA%B3%BC%EC%9D%98%20%EA%B4%80%EA%B3%84_hwp_05.gif)
설명
한글부호체계
I. 서론
II. 본론
1. 한글 부호체계
(1) 완성형 한글 코드 : KSC-5601
(2) 조합형 한글 코드 : KSC-5601:1992
(3) 정보교환용 부호의 확장법 : KSC-5657
(4) 마이크로소프트의 통합형 한글
(5) 유니코드 한글
2. 국제 표준과의 관계
(1) 한글 코드 체계와 국제 규격의 문제
(2) ISO-2022와의 관계
(3) ISO-10646:1993과의 관계
I. 서론
한글 부호 체계는 우리 민족의 문자, 우리 민족이 사용하고 있는 문자를 전산 체계화한 것을 말한다. 이 자료(data)는 95년 11월 현재까지 제안된 한글 부호화 체계를 정리(整理) 나열하고, 국제 표준인 ISO-2022, ISO-10646과의 관계를 說明(설명) 한 A+ 리포트이다.한글부호체계 , (A+ 레포트)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법학행정레포트 ,
한글 부호화 체계를 정리(arrangement) 나열하고, 국제 표준인 ISO-2022, ISO-10646과의 관계를 설명한 A+ 보고서입니다. 이 표준은 ‘완성형 한글 코드’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