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말코비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1:38
본문
Download : 존말코비치.hwp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에게 존재하는 것은 오직 게임을 즐기는 현재 뿐이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는 게임을 즐기긴 하지만 게임 중독증 환자와는 달리 未來(미래)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프로 게이머와 게임 중독증 환자와 거의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고 반문하면서 크레이그나 라티나 둘다 비슷한 거 아니냐하고 주장할 것이다.
3.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는 단순히 자아 정체성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SEXUALITY, 인간의 잠재적 욕구, 자아 분열 등 여러 가지 인간의 모습을 담아 내고 있다 따라서 “ 존 말코비치 되기” 라는 영화는 블랙코미디로 가볍게 웃…(drop)
설명
Download : 존말코비치.hwp( 64 )
레포트/의약보건
다.
존말코비치
,의약보건,레포트
영화 존말코비치를 본후의 분석 감상문이다.
순서
존말코비치
맥신을 처음 만나본 이후로 크레이그는 맥신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게 되는데 심지어 맥신과 하루밤 지새우기 위해 자신의 아내인 라티를 원숭이가 있는 철창 우리에 가두고 총기를 위협해서 맥신을 속이고 그녀와 하루밤을 보내게 된다 처음에 착하게 나오는 크레이그가 왜 그렇게 변하게 되었을까? 이유는 단 한가지 맥신이라는 여자 때문일것이다 여기에서 맥신의 역할은 크레이그의 욕망의 대상, 즉 게임으로 따지면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그의 모습은 흡사 게임중독증 환자와 비슷하다. 그러다가 게임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그 게임이 주는 재미에 빠져 버린 나머지 게임에 점점 중독되어 가고 더 나아가서 학교에서 돌아온 뒤에는 한시라도 게임을 하지 않으면 못살고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을 착각해서 게임에서의 자신의 캐릭터가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캐릭터를 죽인 사람을 찾아가 심한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하지만 확실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물론 게임을 즐기는 것에는 공통점을 보이나 게임 중독증 환자는 즐거움만을 추구한 나머지 자신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마주향하여 는 생각해 보질 않는다. 게임중독증 환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 보면 게임에 접하기 전에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을 보여 준다. 존말코비치 , 존말코비치의약보건레포트 ,






영화 존말코비치를 본후의 분석 repor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