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저항 및 Ohm의 법칙 전기회로 experiment(실험) 및 설계 experiment(실험)(2) 2주차 결과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3 02:27
본문
Download : 전기회로 실험 및 설계 실험(2) 2.hwp
따라서 이번 결과 보고서에는 측정(measurement)한 실제 저항값을 가지고 理論값을 구한 뒤, 실제 전압, 전류의 측정(measurement)값과의 오차율을 계산했다. 먼저, 실험 이전엔 각 저항이 공정상의 오차를 얼마나 갖는지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理論값을 가지고 실험을 했다고 판단하기에 조금 부족했다.그림1과 같이 회로 저항 두 개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한다. 저항을 직렬로 연결했기 때문에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같고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압의 크기가 결정된다. 추가적으로 오차의 원인으로 Digital Multimeter의 내부저항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전류를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Multi-meter가 아주 작은 내부저항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주 작은 저항을 연결하여 회로에 저항이 적게 추가되는 것과 같은 결과 를 갖게 된다 따라서 최대한
다. 4~5%의 오차율이 나타나는 이유는 저항의 공정상의 이유로 각 저항이 정확히 1이 아닌 0.988, 0.995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이다. 측정값은 0.988 0.995 10.01V 이다. 전압 과 의 측정값과 理論(이론)값, 오차율을 다음과 같다. 저항을 직렬로 연결했기 때문에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같고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압의 크기가 결정된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2주차 실험은 전체적으로 모두 5% 내외의 오차율을 보여주었고 성공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Multi-meter를 병렬로 연결하게 되면 마치 내부저항이 회로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것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고 이다.
전기회로 전기회로실험 홍익대 전기회로실험보고서 전자전기공학부 전기회로 실험 및 설계 실험(2)
내부저항 및 Ohm의 법칙 전기회로 experiment(실험) 및 설계 experiment(실험)(2) 2주차 결과보고서
설명
Download : 전기회로 실험 및 설계 실험(2) 2.hwp( 83 )
%202-4380_01_.jpg)
%202-4380_02_.jpg)
%202-4380_03_.jpg)
%202-4380_04_.jpg)
%202-4380_05_.jpg)
순서
그림1과 같이 회로 저항 두 개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 이론값과 측정값의 오차는 저항의 오차를 제외한 것이고, 오차율은 각각 4.7%, 4.55%로 나타나게 된다. 4~5%의 오차율이 나타나는 이유는 저항의 공정상의 이유로 각 저항이 정확히 1이 아닌 0.988, 0.995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작지만 도선의 저항과 Bread board의 저항으로 인한 작은 오차가 영향을 미칠 수 있따 추가적으로 오차의 요인으로 Digital Multimeter의 내부저항이 영향을 줄 수 있따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Multi-meter를 병렬로 연결하게 되면 마치 내부저항이 회로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것과 같은 效果(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내부저항을 라고 할 때 理論(이론)값을 수정할 필요가 있따 먼저 저항이 0.988 0.995의 값을 가진다고 했을 때의 전압의 理論(이론)값을 구해보면 =4.986V, =5.022V이다. 따라서 측정(measurement)된 전압의 값은 저항과 내부저항의 전압과 같게 되고 理論값으로 구한 저항의 값과의 오차로 내부저항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Multi-meter로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회로에 내부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것과 같기 때문에 理論적으로 계산한 전류의 값과의 오차로 직렬로 연결된 내부저항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Multi-meter는 전압을 측정(measurement)할 때와 전류를 측정(measurement)할 때에 각기 다른 내부저항의 크기를 갖게 되는데 전압을 측정(measurement)할 때 약 정도의 내부저항을 갖게 되고 전류를 측정(measurement)할 때는 아주 작은 크기의 내부저항을 갖게 된다 전압을 측정(measurement)할 때 아주 큰 내부저항을 갖게 되는 이유는 내부 저항이 아주 크기 때문에 Multi-meter에는 아주 적은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측정(measurement)하고자하는 회로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전압을 근사치로 측정(measurement)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만약 내부저항이 작다면, Multi-meter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커지면서 측정(measurement)하고자 하는 전압의 크기의 오차가 커진다. 측정값은 0.988 0.995 10.01V 이다. 전압 과 의 측정값과 이론값, 오차율을 다음과 같다. 이번 실험에서는 간단한 저항 회로를 구성해보고 Multi-meter를 이용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measurement)한 뒤, Multi-meter 측정(measurement)값과 理論값의 오차로 Multi-meter의 내부저항 값을 계산해보았다. 따라서 이 理論(이론)값과 측정값의 오차는 저항의 오차를 제외한 것이고, 오차율은 각각 4.7%, 4.55%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작지만 도선의 저항과 Bread board의 저항으로 인한 작은 오차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ulti-meter로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저항에 대하여 병렬로 Multi-meter의 내부저항이 연결되는 것과 같다. 이고 이다. 먼저 저항이 0.988 0.995의 값을 가진다고 했을 때의 전압의 이론값을 구해보면 =4.986V, =5.022V이다. 내부저항을 라고 할 때 이론값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