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실험 - 화학 평형상수의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0 13:14
본문
Download : 실험 - 화학 평형상수의 결정.hwp
결과처리 방법
기구 및 시약
experiment(실험)headline(제목)
[실험] 실험 - 화학 평형상수의 결정
화학평형상수의 결정
K의 크기와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평형상태에서 존재하는 화학종들의 농도를 측정(measurement)하면 평형상수를 계산할 수 있다
순서
다음 reaction 에서 A, B, C, D가 reaction 에 관여하는 화학물이고 a, b, c, d가 균형을 맞춘 reaction 식의 계수라면 평형조건을 일반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인 “질량 작용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평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실험, 화학, 평형, 상수, 결정
reaction 속도에 의해 결정되며 reaction 속도는 활성화 에너지에 의해 결정되고 K의 크기는 생성물과 reaction 물의 에너지 차이와 같은 열역학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 차이를 그림 12.1에 나타내었다. 이들 농도의 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0.2 M 아이오딘화칼륨() 용액 1 L에서 0.025 M 를 녹여 상당한 농도의 를 함유한 용액을 만든다. 이 수용액에 물과 섞이지 않은 사염화탄소()를 가하여 함께 흔들어 주고 방치하면 두 액체상이 형성된다 수용액 중에서 존재하는 화학종들 (즉, , , 및 )중에 만이 사염화탄소 중에 녹아들어간다. 고체 아이오딘은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아이오딘화 이온을 함유한 수용액에는 잘 녹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은 reaction 에 의하여 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평형상수 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평형 상태에서 존재하는 아이오딘화 이온과 삼아이오딘화 이온 및 분자 상태인 아이오딘의 농도를 알아야 한다.
설명
[ ]는 평형에 있는 화학종의 농도를 나타내며, 는 평형상수이다.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
실험방법
본 experiment(실험)에서는 아이오딘화 이온()이 아이오딘()로 reaction 하여 삼아이오딘화 이온 ()을 형성하는 reaction 의 평형상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experiment(실험)이론
다.
이 reaction 의 평형상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실험theory
실험제목 실험이론 실험목적 기구 및 시약 실험방법 결과처리 방법 유의사항
실험タイトル
Download : 실험 - 화학 평형상수의 결정.hwp( 33 )
어떤 reaction 의 평형상수를 알면 reaction 이 진행되려는 경향, 어떤 농도가 평형조건을 나타내는 지의 여부, 주어진 초기 농도로부터 도달할 수 있는 평형의 위치 등과 같은 그 reaction 의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예측할 수 있다 어떤 reaction 이 진행되려는 경향은 평형상수의 크기로부터 알 수 있다 K가 1보다 훨씬 크면 그 reaction 계는 평형에서 대부분 생성물로 되어 있다 즉 평형이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음을 의미하고 이러한 reaction 은 거의 완결된다 반면에 K값이 매우 작으면 평형에서 그 계는 대부분이 reaction 물로 되어 있고 평형의 위치는 왼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reaction 은 거의 진행되지 않는다. 사염화탄소 중에
실험목적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유의사항
녹아 있는 아이오딘의 농도와 수용액에 존재하는 아이오딘 및 삼아이오딘화 이온의 농도는 가 액체상의 일부분을 뽑아 내어 싸이오황산염의 용액으로 적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싸이오황산 이온은 좋은 환원제이므로, 와 를 모두 환원시킬 수 있다 적정시 발현하는 reaction 은 아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