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3 15:37
본문
Download :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hwp
,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
![[인문]%20한국%20동란시%20지연작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A%B5%AD%20%EB%8F%99%EB%9E%80%EC%8B%9C%20%EC%A7%80%EC%97%B0%EC%9E%91%EC%A0%84_hwp_01.gif)
![[인문]%20한국%20동란시%20지연작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A%B5%AD%20%EB%8F%99%EB%9E%80%EC%8B%9C%20%EC%A7%80%EC%97%B0%EC%9E%91%EC%A0%84_hwp_02.gif)
![[인문]%20한국%20동란시%20지연작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A%B5%AD%20%EB%8F%99%EB%9E%80%EC%8B%9C%20%EC%A7%80%EC%97%B0%EC%9E%91%EC%A0%84_hwp_03.gif)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
서 론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은 국군과 연합군이 서기 1950년 6월 30일부터 8월 4일까지 한강-홍천-진부리를 잇는 방어선으로부터 낙동강 방어선 까지 전개하였던 작전이었다.
국군과 연합군의 지연작전시 goal(목표) 는 북한군의 전투력 소모를 강요하고, 연합군의 한반도 전개를 보장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여 낙동강 방어선 형성과 궁극적으로 주도권을 확보하여 적을 격멸하는데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한국군이 수도 서울을 실함한 이후, 대부분의 병력과 장비 및 물자를 상실한 위기적 상황 하에서 6월 30일 미국의 지상군 투입을 통고 받고 미 지상군이 전개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최선의 방책으로서 지연작전의 선택이 불가피 했다.
국군과 유엔군이 지연전을 전개하였던 배경은 다음과 같다. 또한 북한은 전쟁소요기간을 50일로 판단하여 50일 분의 군수지원 물자와 우수한 성능의 장비와 무기를 보유 하고 있었으며, 이를 야간 열차와, 자동차, 30만명의 노무자를 이용하여 수송 하였다. 2. 한국군 주력을 격멸 후, 평택-안성-충주-제천-영월 드으이 지역을 점령한다.레포트/인문사회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
Download :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hwp( 54 )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
[인문] 한국 동란시 지연작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순서
설명
다. 이를 위하여 주공을 영등포-수원-평택방면으로 지향하는 동시에 다른 몇 개의 방향에 조공을 둔다.
2. 한국군의 상황과 작전관념
반면 한국군의…(skip)
인문,한국,동란시,지연작전,인문사회,레포트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본 론
1. 북한군의 상황과 작전관념
당시 북한군은 최초 제 1단계 작전에서 2군단의 주력을 춘천-홍천-수원 방향으로 진출시켜 한국군 주력의 퇴로를 차단하여 포위 격멸하거나 상황에 따라서는 제 2군단의 주력을 대전과 대구방면으로 진격시켜 한국군을 소백산맥 이북에서 포위 섬멸할 계획이었으나 수원방면에서 포위망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전력적 상황변화에 따라 북한군은 이 계획을 ‘1. 미군이 전개하기 전에 한강을 강습도하하여 한강남안을 돌파하여 한국군 주력을 격멸하고 소탕한다. 또한 예상치 못한 일로서 미 지상군의 개입과 한강에서 한국군의 완강한 저항에 직면 하였다.’ 로 변경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