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종교병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6 20:50
본문
Download : 한국인의 종교병리.hwp
Download : 한국인의 종교병리.hwp( 36 )
1980년 고도성장과 자본주의 사회로 진입되면서 오는 과잉경쟁, 경쟁에 지고 소외되며 열등감을 느끼는 민중의 증가, 거듭되는 력명에서 오는 사회... , 한국인의 종교병리인문사회레포트 ,
1980년 고도성장과 자본주의 사회로 진입되면서 오는 과잉경쟁, 경쟁에 지고 소외되며 열등감을 느끼는 민중의 증가, 거듭되는 력명에서 오는 사회...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1980년 고도성장과 자본주의 사회로 진입되면서 오는 과잉경쟁, 경쟁에 지고 소외되며 열등감을 느끼는 민중의 증가, 거듭되는 력명에서 오는 사회적 불안과 스트레스의 급증이 정신의 모든 것을 맡기게 되는 요인이 된 것이다.
종교병리를 극복하는 두번째 길은 정치의 성숙에 있따
그것은 정치가 민족의 먼 장래에 대한 계획을 세워서 차근차근 처함으로서 백성들의
삶의 충격이나 불안을 주지않는 일이며 신자의 표를 의삭하여 연극성을 부리거나 …(To be continued )
한국인의 종교병리
순서
다.
한국의 종교를 건강하게 만들고 사이비 종교의 횡포에서 벗어나는 길은 무엇인가.
이제 살펴본 바와 같이 원래 무당주의를 기층종교로 깔고 삼국시대이래 들어온 외래종교인 불교(인도), 유교(中國), 기독교(서양)를 order (차례) 로 수용했는데 이들 세 종교는 발상지보다 한반도에서는 더욱 극성스럽게 번창했던 게 사실이다.
오늘날 한국의 종교병리를 치유하고 사이비 종교의 병폐를 막는 길은 무엇인가.
그것은 기성종교의 뼈를 깎는 반성에 있는데 저질 신학교의 폐쇄와 엉터리 목회자의 양산을 중지하며 암 등 난치병치료와 같은 기적을 행한다고 하는 사이비 치료행위를 중단시키며
오직 신자수의 배가운동, 헌금걷기, 호화찬란한 교회짓기 등 공간위주의 사고에서 벗어나며 서양 등 외래종교의 교리를 한민족 文化(문화) 속에 토착화시키는 작업을 해야할 것으로 본다.